mobile background

홈 > ESG 자료실 > ESG 정책 및 전략

지속가능성의 효과적인 실행에 필요한 참고자료를 전달합니다.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자료형태보고서
제목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저자한민수, 윤상하, 오태현, 장영신, 김수빈
발행기관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행연도2022
URL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2010000&bid=0002
파일첨부파일 참고



▶ 최근 산업집중도의 심화와 시장경쟁의 약화가 양극화와 불평등 심화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라는 주장이 조금씩 힘을 얻고 있음.

- 노동시장의 불평등 확대는 상품시장에서 소수기업에 대한 지배력이 확대되는 현상과 관련 있으므로, 불평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두 현상을 동시에 포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음. 


▶ 최근 기술진보, 세계화, 디지털 경제의 확산 등 구조적 변화로 인해서 산업집중도가 심화되었으며, 이에 대응하여 주요국의 정책당국은 소비자 후생을 넘어서 ‘균형 있는 경제발전’과 ‘포용적 혁신성장’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목적을 가지고 경쟁법 집행 강화 등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  


▶ 이러한 배경하에서 포용적 혁신성장의 관점에서 경쟁정책의 역할을 살펴보고, 세계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는 우리 경쟁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

- 우리나라의 경쟁법은 이미 제정 당시부터 ‘과도한 경제력 집중의 방지’와 함께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입법목적의 하나로 정하면서 법의 목적을 폭넓게 규정

- 미국과 EU에서도 디지털 경제의 확대와 함께 시장경쟁 왜곡에 대응하는 경쟁법 집행을 강화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경쟁정책의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 

- 특히 우리나라 경쟁정책 중 대ㆍ중소기업 정책이 산업집중도 완화와 포용성 제고에 효과가 있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발견


▶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연구는 ➀ 향후 경쟁정책을 산업 및 거시경제적 효과도 포괄하는 방향으로 재정립하고 ➁ 독과점 시장구조 개선을 위해서 관련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차원의 경쟁정책 역량을 강화하며 ➂ 신속한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  


(출처= KIE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주)코스리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189 중소기업 DMC 타워 608-1호 

Tel. 02-6925-5037 | E-mail. csr@kosri.com

사업자등록번호 105-87-71359 

COPYRIGHT ⓒ 2022-2023 BY KOSR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