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D, K지역에 운영되는 사회적기업 종사자 230명을 유의 표집하여 2017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수인 정보적 지지(β=.375, p<.05)가 내적직무만족도는 정서적지지(β=.487, p<.05)가 내적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기업종사자의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있어 사회적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긍정적인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회적기업종사자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D, K지역에 운영되는 사회적기업 종사자 230명을 유의 표집하여 2017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수인 정보적 지지(β=.375, p<.05)가 내적직무만족도는 정서적지지(β=.487, p<.05)가 내적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기업종사자의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있어 사회적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긍정적인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회적기업종사자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출처 =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