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홈 > ESG 자료실 > ESG 용어

지속가능 분야의 기본 용어 및 설명을 제공합니다.

미국의 비영리기관 B Lab에서 B Rating 시스템과 IRIS(Impact Report & Investment Standards)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고안한 평가 방법으로, 기업과 펀드의 비재무적 성과, 즉 사회적ㆍ환경적 임팩트 분석ㆍ측정 도구이다.


'별점 등급제'를 이용해 점수를 매기는 것이 특징으로, '의도한 성과'와 '의도하지 않은 성과'를 함께 파악한다. 의도하지 않은 성과는 지배구조(governance), 고용(workers), 지역사회(community), 환경(environment)의 네 영역으로 구분된다.


일률적인 지표에 근거해 평가값을 도출하므로 평가자가 달라져도 동일한 성과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조직의 활동영역별, 지역별, 규모별 비교와 여러 기업과 펀드/사업 간의 비교가 매우 용이하다. 임팩트 투자자들은 자신들의 투자로 진행된 사업이 어떤 사회적ㆍ환경적 가치를 창출했는지 GIIRS를 통해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출처: 고동현, 이재열, 문명선, 한솔 공저, 2016,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가치』, 한울아카데미

GRI는 기업의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제기구이다. 지속가능 보고서란 기업이 환경과 사회 문제에 대해 책임을 다하겠다는 계획을 담은 보고서를 뜻한다. GRI가 처음 세워진 것은 1997년이다. GRI가 세워지기 이전인 1989년 22만 톤의 원유를 싣고 있던 미국의 대형 유조선 엑슨 발데스호가 알래스카 프린스윌리엄사운드 해안에서 암초에 부딪히며 좌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무려 4만 톤의 원유가 알래스카 해안에 유출돼 극심한 환경오염을 유발했다. 사고 이후 미국의 환경단체인 세리즈(CERES ∙ Coaltion for Environmentally Responsible Economics)는 이 같은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1997년 국제연합환경계획(UNEP)과 협약을 맺고 GRI를 세웠다.

 

GRI의 주요 업무는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한 뒤 이를 발표하고 각 나라 기업에게 보고서를 작성할 것을 권하는 일이다. GRI의 지속가능 보고서는 각 기업들이 작성할 의무도 없고 작성하지 않는다고 해서 불이익을 받는 일도 없다. 그러나 환경 문제에 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GRI를 통해 보고서를 낸 기업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가 크게 높아지는 경향이 많다. 이런 이유 때문에 보고서를 제출하는 기업 숫자는 GRI 설립 첫해 10개에서 2009년에는 1400개로 늘었다. 보고서를 내는 기업들은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들여 외부 컨설팅을 받는 등 심혈을 기울인다. 한국에서는 현대자동차가 2003년 최초로 GRI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지속가능 보고서를 발간했고 같은 해 포스코와 삼성SDI가 뒤를 이었다. 2009년 지속가능 보고서를 발간한 한국 기업은 54개로 늘어났다.


3-4년에 한 번씩 가이드라인을 개정한다. 현재 가장 최근 개정된 G4가 사용되고 있으며, 올해 발표된 GRI Standards가 2018년 7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출처: 굿모닝미디어

미국의 록펠러재단과 어큐먼 펀드(Acumen Fund), B Lab이 만든 사회적ㆍ환경적ㆍ재무적 성공을 측정한 성과지표이다. 일종의 카탈로그 형식으로 이용자가 먼저 자신의 조직이 활동하는 섹터를 선택한 후, 각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지표, 정의들을 구체화해 자신만의 지표 프레임워크를 구성한다. 따라서 자신의 활동과 목적에 걸맞은 섹터와 평가항목들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외에는 모든 조직에 공통된 재무성과, 운영성과, 제품성과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기능을 이용해 만들어진 매트릭스에서 그에 맞게 짜여진 질문들에 답을 하고 나면 성과 리포트를 볼 수 있다. IRIS의 특기할 만한 장점 중 하나는 각 섹터 내에서 자기 조직의 성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다른 이용자들과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비교를 통해 조직들은 자신의 위치를 가늠해보며 장기적 전략을 수립한다. 


출처: 고동현, 이재열, 문명선, 한솔 공저, 2016,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가치』, 한울아카데미  

1. 정의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의 세계적인 표준이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표준화기구 (ISO) 는 사회적 책임 경영의 국제표준으로 ISO 26000 을 2010년 11월에 제정 발표했으며,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제고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지침을 제공한다. 이를 만들기 위해 준비 기간은 4년(2001년~2004년)이 걸렸으며, 개발 기간은 6년(2005년~2010년)이다. 어느 조직이나 ISO 26000 지침서를 참조로 하여 미래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을 준비할 수 있다. 2013년 현재 세계적으로 1만 개가 넘는 단체가 ISO 26000 지침을 사용한다.


2. 기본 7대 원칙

  ㄱ.책임성

  ㄴ.투명성

  ㄷ.윤리적 행동

  ㄹ.이해 관계자의 이익 존중

  ㅁ.법규 준수

  ㅂ.국제 행동 규범존중

  ㅅ.인권 존중


3. 기타 내용

  ISO 26000 가이드라인에는 핵심 분야가 기업이나 조직의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며 위험성이 있는 분야라고 명시되어 있음.

  그러므로 핵심 분야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언론의 감시뿐만 아니라 민사/형사 소송, 브랜드 명성을 훼손시킬 수 있는 소비자 민원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인적 자원이나 인권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사회적 비난을 초래할 수 있음. 또한  공정 거래 관행을

  따르지 않을 경우 기업은 금전적 손해와 이미지 훼손을 입게 된다.

  따라서 ISO 26000 문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이행할 때 어떠한 활동을 해야 하고 어떠한 의식을 반영해야 하는 지에 대해 기업을

  포함한 모든 조직에게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됨. 대부분의 한국 기업들이 보여주는 관행과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에

  공헌하는 몇 가지 이벤트나 프로그램을 이행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며,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핵심 주제는 기업의 주요 경영 철학 및

  관행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함.

  ISO 26000은 기업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표준이 아니라 가이드라인 임. 따라서 조직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또는 프로그램이 본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것인지 여부는 각 조직이나 기업의 결정에 따름.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술위원회(TC 207)에서 제정한 환경경영체제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14000 시리즈' 중 하나.


국제표준인 'ISO 14000 시리즈'에는 환경경영체제(ISO 14001), 환경감사(ISO 14010 Series), 환경라벨링(ISO 14020 Series), 환경성과평가(ISO 14030 Series), 전과정평가(ISO 14040)등의 환경경영 규격시리즈가 있는데, 이중 'ISO 14001'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하나의 조직(기업 등)이 ISO 14001 인증을 받는다는 것은 그 조직이 ISO 14001 규격의 요건에 근거하여, 환경경영을 기업경영의 방침으로 삼고 구체적인 목표와 세부목표를 정한 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 절차 등을 규정하고 인적, 물적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체제를 갖추고 지속적인 환경개선을 이루어 나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박문각 시사상식사전

개인의 사회적 책임이란 자신의 가족, 친지의 영역을 포함하여 지역사회 전반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을 말하며, 세상에 대한 개인의 공헌이라고 할수 있다. ISR은 단순히 개인의 자선적 행동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지역사회를 위해 실질적 이득을 만들기 위한 노력과 행동을 말하는 것이다.

확장된 개념으로 개인의 자선적 행동은 물론 사회에 유익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자발적 활동을 말하며 이러한 활동은 반드시 윤리적, 도적적 가치관에 의해 행동하는 것이다. 


ISR이 CSR의 기초와 뿌리가 된다는 것은 바로 개인이 모여 기업이 조직되는 것이므로 개인들의 사회적 책임의식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문화가 형성되기 때문에 CSR이 요구될수록 ISR의 필요성도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출처 : 개인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김성택)

환경, 사회, 지배구조 요인에서 발생하는 기업의 재무상 중대한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하는 도구.


출처: 캐서린 스미스·데이브 스탱거스, 2017, <비즈니스와 사회에 가치를 더하라>, KOSRI

소규모 이익을 낼 수 있는 자선이나 교육적인 목표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기업으로, 수익 창출이 그 조직의 주된 목적이 아니어야 한다. L3C는 종종 비영리와 영리 사이의 하이브리드 기관으로 간주된다.


출처: 캐서린 스미스·데이브 스탱거스, 2017, <비즈니스와 사회에 가치를 더하라>, KOSRI

LBG(London Benchmarking Group)은 1994년, 영국의 선도적인 기업들이 다른 회사는 지역사회 지원, 사회공헌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어떻게 정희하고 있느지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공유하고자 설립된 네트워킹 조직으로 LBG모델을 구상하여 지역사회지원,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측정툴을 완성하였다.

LBG 모델은 사회공헌 활동을 Input-Output-Impact의 3단계로 분석한다.

이중에 Impact는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수혜자, 조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기업에는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교육프로그램에서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학생들의 성적이 얼마나 상승되었는지,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회사 임직원의 회사 만족도는 얼마나 상승하였느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인간 생존 및 경제적 활동에 필수적인 생태계상의 혜택과 없어서는 안 되는 자원을 측정하는 회계방식. 자연자본은 일반적으로 재생 가능한 자원(농 업 작물, 식물, 야생생물)과 재생 불가능한 자원(화석 연료와 저장 광물)으로 나눠진다.


출처: 캐서린 스미스·데이브 스탱거스, 2017, <비즈니스와 사회에 가치를 더하라>, KOSRI

(주)코스리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189 중소기업 DMC 타워 608-1호 

Tel. 02-588-5037 | E-mail. csr@kosri.com

사업자등록번호 105-87-71359 

COPYRIGHT ⓒ 2022-2023 BY KOSR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