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ESG 자료실 > ESG 용어
지속가능 분야의 기본 용어 및 설명을 제공합니다.
(주)코스리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189 중소기업 DMC 타워 608-1호
Tel. 02-588-5037 | E-mail. csr@kosri.com
사업자등록번호 105-87-71359
COPYRIGHT ⓒ 2022-2023 BY KOSRI. All Rights Reserved.
(주)코스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26, 222호 (서초동, 레미안유니빌)
Tel. 02-588-5037 | E-mail. csr@kosri.com
사업자등록번호 105-87-71359
COPYRIGHT ⓒ 2022-2023 BY KOSRI. All Rights Reserved.
성별, 연령, 국적, 문화적 배경, 장애의 유무에도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쓸 수 있는 제품 및 사용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 즉 배리어프리된 디자인.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범용(汎用) 디자인'이라고도 불린다. 배리어프리 디자인된 도구, 시설, 설비 등은 장애가 있는 사람뿐 아니라 건강한 사람들에게도 유용한 것이다. 장애의 유무와 상관 없이 모든 사람이 무리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도구, 시설, 설비를 설계하는 것을 유니버설 디자인(공용화 설계)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공공교통기관 등의 손잡이, 일용품 등이나 서비스, 또 주택이나 도로의 설계 등 넓은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이다.
출처: 두산백과
유엔(UN)과 기업 간 협력을 통해 유엔이 추진하고 있는 지속균형발전에 기업들의 동참을 장려하고 국제사회윤리와 국제환경을 개선하고자 발의한 유엔 산하 전문기구.
유엔이 추진하고 있는 지속균형발전에 기업들의 동참을 장려하기 위해, 1999년 1월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이 세계경제포럼에서 기업들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통해 세계화로 인해 발생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 나서자는 취지로 발의한 후, 2000년에 발족된 유엔 산하 전문기구다. 2013년 7월 현재 130여 개국의 관련 기업ㆍ공공기관ㆍ시민단체 등 1만여 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2000년 7월 뉴욕 UN본부에서 개최된 글로벌콤팩트 창설회의 이후 꾸준히 활동영역을 넓혀왔으며, 2006년 11월 이후 글로벌콤팩트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중점 추진 아젠다로 부각되었다.
UNGC 한국협회에는 현재(2013년 7월 현재) SK텔레콤ㆍKTㆍ대한항공ㆍ아시아나항공ㆍ아모레퍼시픽ㆍ신한은행ㆍ우리은행 등 국내 240여 개 기업ㆍ금융기관이 가입해 있고, 홈플러스의 이승한 회장이 협회장을 맡고 있다. 한편 글로벌콤팩트는 기업활동에 있어서 친인권ㆍ친환경ㆍ노동 차별반대ㆍ반(反)부패 등의 10대 원칙 준수를 핵심으로 하고 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10대 원칙>
① 인권(Human Rights)
원칙 1 : 기업은 국제적으로 선언된 인권 보호를 지지하고 존중해야 한다. 원칙 2 : 기업은 인권 침해에 연루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한다.
② 노동규칙(Labour Standards)
원칙 3 : 기업은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실질적인 인정을 지지하고, 원칙 4 :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을 배제하며, 원칙 5 : 아동노동을 효율적으로 철폐하고, 원칙 6 : 고용 및 업무에서 차별을 철폐한다.
③ 환경(Environment) 원칙 7 : 기업은 환경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을 지지하고, 원칙 8 : 환경적 책임을 증진하는 조치를 수행하며, 원칙 9 : 환경친화적 기술의 개발과 확산을 촉진한다.
④ 반부패(Anti-Corruption) 원칙 10 : 기업은 부당취득 및 뇌물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부패에 반대한다.
출처: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박문각 시사상식사전
UN의 후원을 받는 책임투자원칙주도기구(PRI)는 국제 투자가들이 책임투자에 관한 주요한 6가지 원칙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 협력하는 네트워크이다.
기구의 가맹회원들은 기관 투자자들로서 수혜자의 최상의 장기적 이익을 위해 활동할 의무를 지닌다. 회원들은 환경, 사회,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슈들이 다양한 기업, 분야, 지역, 자산 계급, 그리고 시대를 거쳐 투자 포트폴리오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다. 또한 회원들은 책임투자원칙의 적용으로 투자자들이 사회의 더 광범위한 목표와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회원들은 이들의 신탁 의무와 일치하는 다음의 원칙들에 대해 약속한다.
① 투자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 환경, 사회,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이슈들을 포함한다.
② 소유권 정책 및 행사에 있어 환경, 사회,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이슈를 포함한다.
③ 투자대상기업에 환경, 사회,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이슈를 적절하게 노출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한다.
④ 투자산업 내 책임투자원칙들의 수용 및 실행을 증진시킨다.
⑤ 책임투자원칙의 수행에 있어 효율성 증진을 위해 협력한다.
⑥ 책임투자원칙의 수행에 관한 각자의 활동과 진전상황을 각각 보고한다.
출처: 한국학술정보(주), 2011, 금융 · 회계관련 국제기구 지식정보원
GRI Standards Glossary 2016에 따르면, 이해관계자란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영향을 크게 받거나, 그들의 행동이 조직의 성공적인 전략 수행 및 목표 달성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관 또는 개인을 의미한다. 즉, 법이나 국제협약에 따라 조직에 대한 적법한 청구권을 부여받은 기관이나 개인을 말하며, 이해관계자에는 임직원과 주주뿐 아니라 임직원에 속하지 않는 근로자와 공급업체, 취약집단, 지역사회, NGO 등이 포함된다.
ISO26000에 따르면, 이해관계자 참여란 조직의 의사결정을 위해 정보에 기반한 근거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직 및 하나 이상의 조직 이해관계자가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을 뜻한다.
비즈니스프로세스아웃소싱(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업무를 일할 능력을 갖추었지만 일자리가 부족해 실업에 시달리는 저소득 가정, 농촌지역, 청년과 같은 사회취약계층에 맡겨 이들로 하여금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IT분야의 역량을 가꾸어, 궁극적으로 빈곤탈출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비즈니스모델.
출처: 임팩트비즈니스리뷰(IBR), '임팩트 소싱(Impact Sourcing) : 빈곤탈출의 새로운 마중물이 될 수 있을까?'
재무상의 관점에서 수익을 창출하면서, 동시에 사회적·환경적 성과도 달성하는 투자.
기존의 투자는 경제 및 재무적인 성과에 집중하였던 반면, 임팩트 투자는 경제 및 재무적 성과를 넘어 사회적·환경적 성과를 추구하는 투자를 말한다. 2011년 제이피모건(JP Morgan), 글로벌임팩트투자네트워크(Global Impact Investing Network, GIIN) 및 록펠러 (Rockefeller) 재단은 이 용어를 ‘자본 회수를 넘어 긍정적인 영향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로 정의하였다. 공공 예산만으로는 더이상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세계적인 인식 하에 이제는 자본주의 안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임팩트 투자는 사회적 책임 투자(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이하 SRI)에 속하는 개념으로, 기존 SRI의 경우 사회에 해를 끼칠 수 있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회피하는 소극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반면, 임팩트 투자의 경우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투자한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SIB)과의 연계를 통해 임팩트 투자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사회성과연계채권이란, 투자를 받아 사회적 성과를 낼 수 있는 곳에 투자를 한 후, 예상한 성과를 내면 정부로부터 수익금을 받는 채권이다. 2012년 골드만삭스가 미국 뉴욕 시의 청소년 재범률을 낮추는 사업에 960만 달러를 이 채권으로 투자한 바 있다.
2014년에 글로벌 임팩트투자네트워크(GIIN)에서 발간한 《세계지속투자리뷰(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Review)》에 따르면 전 세계 임팩트 투자에서 미국이 63%, 유럽이 26%, 아시아가 5%, 나머지 국가가(호주, 캐나다 등) 6%를 차지하고 있다. 동 보고서에서는 최근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아시아가 향후 임팩트 투자 성장의 주요 지역이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임팩트 투자는 신뢰할만한 투자처가 부족하고 실적이 부진하여 낮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출처: 두산백과
기술이 사용되는 사회 공동체의 정치적, 문화적, 환경적 조건을 고려해 해당 지역에서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기술로, 인간의 삶의 질을 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1960년대 경제학자 슈마허(E. F. Schumacher, 1911~1977)가 만들어낸 ‘중간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이라는 용어에서 시작되었다. 중간기술은 과거의 원시적인 기술보다는 훨씬 우수하지만 선진국의 거대 기술(super technology)에 비하면 소박한 기술이다. 대단위 자본을 기반으로 대량의 제품을 생산하는 거대 기술과 달리, 중간기술은 현지의 재료와 적은 자본, 비교적 간단한 기술을 활용하여 그 지역의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규모의 생산 활동을 지향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중간기술은 훨씬 값싸고 제약이 적은 기술이며, 기술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인간이 소외되지 않고 노동을 통해 기쁨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인간의 얼굴을 한 기술’인 것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제품 제조공정 및 서비스를 포함한 모든 산업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제품의 원료채취, 제조, 사용 및 폐기처리에 이르는 전과정에 걸쳐 소모되고 배출되는 물질과 에너지의 양을 정량화하여,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환경개선을 모색하는 평가 방법이다. 전과정평가연구는 1960년대 포장재료의 에너지소비량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 전세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ISO 14040으로 규격이 표준화되었다.
출처: 매일경제
중대성 측면이란 조직의 중요한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반영하거나, 이해관계자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말한다. 질적 분석, 양적 평가 및 논의를 통해 중대측면을 결정한다.
출처: GRI G4 이행매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