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데일리임팩트
PSR
English
사이트맵
회원가입
주문내역
회원정보
비밀번호 변경
로그아웃
로그인
Top menu
KOSRI
기업가치와 사회가치의 조화를 통한 즐거운 동행-KOSRI
KOSRI 소개
KOSRI 소개
인사말
비전과 미션
연혁
조직도
CI 소개
출판물
KOSRI 뉴스
오시는 길
파트너사
ESG 사업
ESG 컨설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검증
지속가능경영 활동
대한민국 CSR 필름페스티벌
미국 CSR 연수단
기업SR 연구 및 컨설팅
출판사업
대한민국 CSR 국제 콘퍼런스
논문경진대회
ESG 자료실
ESG 인사이트
ESG 인사이트
ESG 데이터
ESG 추천 도서
ESG 동향
ESG 정책 및 전략
경제 성과
사회 성과
환경 성과
ESG 리포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용어
ESG 용어
ESG 추천 링크
ESG 추천 링크
고객지원
고객지원
공지사항
뉴스레터 아카이브
Contact Us
KOSRI 소개
인사말
비전과 미션
연혁
조직도
CI 소개
출판물
KOSRI 뉴스
오시는 길
파트너사
ESG 사업
ESG 컨설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검증
지속가능경영 활동
대한민국 CSR 필름페스티벌
미국 CSR 연수단
기업SR 연구 및 컨설팅
출판사업
대한민국 CSR 국제 콘퍼런스
논문경진대회
ESG 자료실
ESG 인사이트
ESG 인사이트
ESG 데이터
ESG 추천 도서
ESG 동향
ESG 정책 및 전략
경제성과
사회성과
환경성과
ESG 리포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용어
ESG 용어
ESG 추천 링크
ESG 추천 링크
고객 지원
공지사항
뉴스레터 아카이브
Contact Us
You are here:
홈
ESG 자료실
사회성과
사회성과
SR 활동의 사회적 임팩트에 관한 정보를 전달합니다.
자료형태 :
전체
단행본
보고서
학술논문
연구자료
시청각자료
콘퍼런스자료
CSR 교육
국제기준
정책자료
통계
인포그래픽
프로그램북
툴킷
기타
제목
내용
작성자
태그
검색
[학술논문]
한국형 사회적 분류체계(Social Taxonomy) 구축 필요성 및 향후 과제
PDF
WEBLINK
지속가능금융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관련 분류체계가 구축되는 것이 중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 분야의 녹색 분류체계가 발표된 만큼 추가적으로 사회분야의 사회적 분류체계 구축 노력을 시작할 필요가 있음. 특히 사회적 분류체계의 경우는 다양한 경제주체의 사회적 가치 합의를 전제하므로 당사자 간 적극적 참여와 그 과정에서의 이해관계 조정이 중요함. 이를 감안하여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본격..
[학술논문]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WEBLINK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하고 있는 선행연구들 중 2008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10년 간 국내에서 발표된 박사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에서 양적연구로 판단되는 25편의 논문을 수집할 수 있었고, 이 중에서 자료선정 기준에 부합되어지는 (t, F, r, OR값 또는 M, SD값과 N수 제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학술논문]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실증분석
WEBLINK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의 대표적인 조직체인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한 분석 단위는 우리나라의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기초시이며 분석모형은 패널모형(2010년~2015년)을 활용하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사회적기업의 창업 목적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경제활동 참가율이며 주요 독립변수는 지방자치단체 내의 연도별 사회적기업의..
[학술논문]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WEBLINK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D, K지역에 운영되는 사회적기업 종사자 230명을 유의 표집하여 2017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상관..
[학술논문]
지역별 한국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효율성, 생산성 및 효율성의 결정요인 분석: SBM기법, Malmquist 생산성 지수, 패널 Tobit기법의 적용
WEBLINK
사회적기업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정태적 효율성만을 파악하였고 지역별 사회적 효율성이나 사회적 효율성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지역별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정태적 효율성, 동태적 생산성, 효율성의 결정요인을 SBM기법, Malmquist 생산성지수, 패널 Tobit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SBM 추정으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연구자료]
다국적기업의 인권경영에 관한 글로벌법제 현안 분석 연구
WEBLINK
Ⅰ.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기업은 국가의 경제성장을 주도하며 사회의 존속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만, 과도한 이윤추구로 노동권을 비롯한 인권침해의 위험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가와 사회는 기업에게 사회적 책임을 그동안 요구해 왔었고, 오늘날에는 여기에 더해서 기업의 인권경영전반에 대해 논의되고 있음○ 다국적기업의 인권경영과 관련된 국제기준도 존재하는데, 국제사회(UN, OECD, ILO,..
[단행본]
Business and Human Rights: From Principles to Practice (1st edition)
WEBLINK
In a global economy, multinational companies often operate in jurisdictions where governments are either unable or unwilling to uphold even the basic human rights of their citizens. The expectation that companies respect human rig..
[단행본]
어서와요 노동존중 CSR
WEBLINK
『어서와요 노동존중 CSR』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본질, 즉 노사관계에 주목한다. 기업 밖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주의뿐만 아니라 기업 안에서 ‘작업장 민주주의’와 ‘노동의 질’ 부분에 주목한다. CSR에서 노동존중이 핵심으로 자리잡아야한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그동안 CSR과 노사관계는 서로 다른 틀로서,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논의되어 왔다. 이 책은 CSR과 노사관계가 적극적으로 결합되어야함을 역설한다...
[학술논문]
공공기관 노사관계와 성과관리
WEBLINK
본 연구는 공공기관이 추구해야 할 노사관리(노사관계의 합리성)의 방향과 그 핵심성공요인을 살펴보고,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제도의 노사관리 지표의 현황 분석을 통해, 공공기관 노사관계의 전략적 성과관리를 제고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공공기관이 추구해야 할 노사관계는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노사파트너십을 제고하고,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노사당사자가 공동의 노력과 그 책임을 다함으로써, 지속가능하..
[학술논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중 산업안전보건 분야에 대한 인식도
WEBLINK
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CSR)의 산업안전보건 분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보고서 발간 시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노동조합의 인지도가 가장 높았고,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보호 활동’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평가 지표에 대하여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와 노동조합의 80%가 인식하지 못하는 것..
[보고서]
Putting the “S” in ESG: Measuring Human Rights Performance for Investors
PDF
WEBLINK
Investors have a special role in shaping and influencing company actions relating to human rights. Since its founding in 2013, the NYU Stern Center for Business and Human Rights has devoted significant attention to this issue, p..
[단행본]
Innovation and Scaling for Impact How Effective Social Enterprises Do It
WEBLINK
Innovation and Scaling for Impact forces us to reassess how social sector organizations create value. Drawing on a decade of research, Christian Seelos and Johanna Mair transcend widely held misconceptions, getting to the core of ..
[단행본]
Measuring and Improving Social Impacts: A Guide for Nonprofits, Companies, and Impact Investors
WEBLINK
The world is beset with enormous problems. And as a nonprofit, NGO, foundation, impact investor, or socially responsible company, your organization is on a mission to solve them. But what exactly should you do? And how will you kn..
[국제기준]
Business & Human Rights: From Principles to Action
WEBLINK
2016 marks five years since the UN Human Rights Council endorsed the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UNGPs), establishing an authoritative global standard on the respective roles of businesses and governments in h..
[툴킷]
Delivering on the SDGs The inclusive business approach
WEBLINK
This issue brief (8 pages) highlights how inclusive business solutions can deliver both business and societal value, in full alignment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t articulates the business case for targeting..
[툴킷]
Scaling up Action on Human Rights: Operationalizing the UN Guiding Principles for Business and Human Rights
WEBLINK
This issue brief by the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CSD) identifies a series of barriers and solutions to operationalizing the UN Guiding Principles for Business and Human Rights (UNGPs). The latter estab..
[정책자료]
Guide to Social Innovation
WEBLINK
Social innovation is in the mouths of many today, at policy level and on the ground. It is not new as such: people have always tried to find new solutions for pressing social needs. But a number of factors have spurred its develop..
[기타]
Measuring Social Value
WEBLINK
Funders, nonprofit executives, and policymakers are very enthusiastic about measuring social value. Alas, they cannot agree on what it is, let alone how to assess it. Their main obstacle is assuming that social value is objective,..
[툴킷]
The Open Book of Social Innovation
WEBLINK
To structure the many methods we’ve collected we look at them through three different lenses: In Part 1 of this book, we look at the processes of innovation. We describe the stages of innovation as spreading outwards from prompt..
[연구자료]
사회영향평가 지표 개발 및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WEBLINK
사회영향평가는 제안된 사업으로 인해 사람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지 예측하고 예상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이다. 개인이나 공동체가 평가의 대상이기 때문에 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의견 조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영향평가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와 운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출처=국문 요약)
1
2
3
MENU
KOSRI 소개
인사말
비전과 미션
연혁
조직도
CI 소개
출판물
KOSRI 뉴스
오시는 길
파트너사
ESG 사업
ESG 컨설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검증
지속가능경영 활동
대한민국 CSR 필름페스티벌
미국 CSR 연수단
기업SR 연구 및 컨설팅
출판사업
대한민국 CSR 국제 콘퍼런스
논문경진대회
ESG 자료실
ESG 인사이트
ESG 인사이트
ESG 데이터
ESG 추천 도서
ESG 동향
ESG 정책 및 전략
경제성과
사회성과
환경성과
ESG 리포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용어
ESG 용어
ESG 추천 링크
ESG 추천 링크
고객 지원
공지사항
뉴스레터 아카이브
Contact Us